2017 서울청년의회가 서울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지난 23일 개최되었습니다. 서울시와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서울시의회 청년발전특별위원회가 주최하고 약 400여 명의 관계자, 청년의원과 지역 청년활동가 등이 참가했습니다.
서울청년의회는 청년의 일상에서 출발해, 정책이 청년의 일상에 가 닿을 수 있도록 청년이 행정에 직접 질의하고 정책을 발의합니다.
"서울시는 청년문제를 통해 다양한 문제들을 바라봤고, 청년 스스로를 5포 세대라고 하고 헬조선이라 여기는 이러한 심각한 상황속에서 서울형 뉴딜일자리, 혁신파크, 청년수당을 통해 문제들을 해결해나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년문제에 공감하여 특단의 일자리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도 중앙정부와 함께 새로운 정책을 구축해나가며 일자리망을 늘리고 청년의 자존과 삶을 지키도록 만들어갈 것이다"고 약속했습니다.
"내일이 오늘보다 조금 더 나아질 거라는 기대"
오늘날의 청년문제는 개인의 책임이 아닙니다. 국가와 사회가 함께 풀어가야할 과제입니다. 청년정책은 사회로 진입하는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의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청년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정책의 혁신은 더욱 확대되어야 합니다.
(crembel@naver.com)
서울청년의회는 청년의 일상에서 출발해, 정책이 청년의 일상에 가 닿을 수 있도록 청년이 행정에 직접 질의하고 정책을 발의합니다.
"서울시는 청년문제를 통해 다양한 문제들을 바라봤고, 청년 스스로를 5포 세대라고 하고 헬조선이라 여기는 이러한 심각한 상황속에서 서울형 뉴딜일자리, 혁신파크, 청년수당을 통해 문제들을 해결해나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년문제에 공감하여 특단의 일자리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시도 중앙정부와 함께 새로운 정책을 구축해나가며 일자리망을 늘리고 청년의 자존과 삶을 지키도록 만들어갈 것이다"고 약속했습니다.
"내일이 오늘보다 조금 더 나아질 거라는 기대"
오늘날의 청년문제는 개인의 책임이 아닙니다. 국가와 사회가 함께 풀어가야할 과제입니다. 청년정책은 사회로 진입하는 청년에게 공정한 출발의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청년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정책의 혁신은 더욱 확대되어야 합니다.
(crembel@naver.com)
'서울청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서울청년의회 10대 청년정책 제안 (0) | 2017.07.26 |
---|---|
청년정책 2017 서울청년의회 만나다 (0) | 2017.07.26 |
2017 서울청년의회 스스로의 청년정책 10대 제안 (0) | 2017.07.26 |
2017 서울청년의회 내가 나일 수 있는 세상을 위하여 (0) | 2017.07.26 |
청년의회 10대 제안정책 (0) | 2017.07.25 |